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선물
- 서세원사업
- 모바일 운전면허
- 유승준
- 또아픔
- 김종국
- 콤부차 주의사항
- 애드센스
- 모바일 운전면허 발급방법
- 모바일 운전면허 발급
- 유아심리
- 애드센스 승인거절
- 어린이날
- 수면습관
- 해열제
- 장난감
- 생각하는 의자
- 류현진
- 흥부네 정육식당
- 정리정돈
- 신한카드
- 축하축하
- 허리디스크
- 아울렛
- 수원 맛집 10
- 렘수면
- 헬로카봇
- 추억팔이
- 수원 정자동 흥부네 정육식당
- 50일
- Today
- Total
개구쟁이와 그 부하
3세 전후는 폭발적인 언어 발달을 보이는 시기입니다. 이때 아이가 또래보다 말이 늦다면 왜 그런지 꼭 따져 봐야합니다. 그런데 '크면 좋아지겠지' , '늦되는 아이들이 더 잘된대' , '애 아빠도 어릴 때 말이 늦었다는데' 등 막연한 생각으로 기다리기만 하는 엄마도 있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싫어하는 말이 바로 '애들은 원래 다 그래. 그냥 내버려두면 나아 질 거야' 하는 말입니다. 그런 생각으로 아이를 방치했는데 한두 달이 지나고도 아이의 상태가 나아지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특히 언어는 적정 시기에 제대로 발달을 이루지 못하면 말을 못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성 발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연속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잘..
한 가지 물건에 대한 집착이 너무 심해요아이들은 가지고 놀던 인형이나 베개, 이불 등 특정한 물건에 심한 집착을 보일 때가 있습니다. 여행 때마다 아이 이불을 챙겨야 한다는 엄마도 있습니다. 아이가 낡고 더러운 물건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면 엄마는 걱정이 되지 않을 수 없지요. 하지만 이것은 두 발로 서고 걸음마를 해야 걸을 수 있는 것처럼, 아이가 세상으로 나가기 위해 거치게 되는 필연적인 발달 과정입니다. 그것을 문제삼아 고치려 들면 그것이 오히려 병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독립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모습한 엄마가 장난감 기차에 집착하는 다섯 살 난 아들 때문에 고민이라며 병원을 찾아 왔습니다. 아이는 매일 장난감 기차만 가지고 놀고, 친구들아 놀러와서 그 기차를 건드리기라도 하면 그 친구를 때리기..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나 '내 아이가 이런 아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을 것입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성격좋은 아이'가 아닐까 합니다. 아무리 똑똑한 아이라도 성격에 문제가 있으면 올바른 성인으로 자라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종종 어떻게 하면 성격 좋은 아이로 키울 수 있는지 물어보는 부모들이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들의 관계가 성격 형성에 영향신생아실에 있는 아이들은 대개 생김새나 하는 행동이 비슷해 보입니다. 하지만 자세히 관찰해 보면 얼굴은 물론 환경과 자극에 대한 반응도 제각각이지요. 어떤 아이는 움직임이 많고 환경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반면, 어떤 아이는 자극을 줄 때까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습니다. 백지 상태에 비유되는 아이들이 이런 개인차를 보이는 것은 어째서일..
https://hoonipapi.tistory.com/entry/%EC%9A%B0%EB%A6%AC%EC%95%84%EC%9D%B4-%ED%98%B9%EC%8B%9C-%EC%9E%90%ED%8F%90%EC%A6%9D%EC%9D%B4-%EC%95%84%EB%8B%8C%EA%B0%80%EC%9A%94아이가 병이나 장애를 갖고 잇는 경우 부모는 죄의식을 갖기 쉽다. 하지만 죄책감은 아이의 행동과 특성을 이해하고 완화시키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마음의 부담만 가중시켜 적절한 치룔를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죄의식에서 빨리 벗어나야 한다. 또한 아이를 최대한 정상아와 많이 접촉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아이가 보이는 행동이 특이해서 이목을 끌고, 다른 사람들이 불편해하는 것 때문에 힘이 들겠지만 아이를 ..

많은 엄마들은 아이가 조금만 이상한 행동을 보여도 자폐증을 의심하지요. 언론 매체에소개된 자폐증에 관한 이야기를 보고 있짜면 엄마들로서는 자폐증이 무척 두렵게 느껴질 것입니다. 현대 과학으로도 아직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만 조기에 발견할수록, 엄마가 정성을 기울일수록 치료 효과가 높은 것이 자폐증입니다. 자폐증이란 자폐증(Autism)이란 언어와 의사소통, 사회화 및 행동 영역에 걸친 발달상의 장애를 말합니다. 주로 지능이 떨어지면서 언어 발달상에 문제가 있고, 사회성도 떨어지는 증상을 보이지요. 자폐아의 비정상적인 행동은 아이가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을 못해 나타나는 갈등의 결과라고 할 수 있어요. 따라서 자폐아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의사 소통과 언어 습득을 위한 여러가지 노력이 필요합니다. 자폐증은..

엄마들이 두 돌이 되기 전에 꼭 해야 한다고 여기는 지상 과제가 바로 대소변 가리기입니다. 언제 기저귀르 떼느냐를 발달의 척도라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일찌감치 아기 변기를 준비하고 육아 책을 뒤적이며 대소변 가리기 작전을 세웁니다. 하지만 아이를 기르는 일은 계획대로 되지 않습니다. 다만 중요한 것은 첫 단추를 어떻게 끼우느냐 하는 것이지요. 배변 훈련 역시 첫 단추를 잘못 끼우면 향후 몇 년간 이 문제로 골치를 썩게 됩니다. 언제 시작하느냐가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걸음마는 언제 시작하고, 말문은 언제 트이고, 놀이방은 언제 보낼 수 있는지 등 무엇이든 그 시기를 알아보고, 그보다 내 아이가 조금이라도 늦으면 무슨 큰 문제가 잇는 것처럼 생각하는 부모들이 있지요.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아이 발달을..

아이를 사랑하지 않는 부모가 없음에도 보물 같은 아이에게 부모들은 종종 사랑의 매를 듭니다. 그러나 이 사랑의 매라는 것은 당장은 효과가 있을지 몰라도 적잖은 부작용을 남깁니다. 아이가 '사랑'은 느끼지 못하고 자신을 아프게 한 '매'를 폭력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지요. 매는 들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래도 어쩔 수 없이 매를 대야 한다면 반드시 원칙과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지혜로운 꾸짖음과 기다릴 줄 아는 여유 필요 명심해야 할 것은 아이를 야단치는 것은 화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이라는 사실입니다. 무조건 소리 지르고 혼낸다고 아이가 같은 잘못으 반목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아이가 스스로 잘못을 반성하며 고쳐 나가게 하기 위해서는 지혜로운 꾸짖음과 기다릴 줄 아는 여유로움이 필요하지..